저장을 습관화
230822 TIL - CORS란 본문
'Cross-origin resource sharing'의 줄임말로, 번역하면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교차 출처'라는 단어는 '서로 다른 출처'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즉, CORS는 출처가 다른 자원들을 공유한다는 개념이다.
MDN에서는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CORS)는 추가 HTTP 헤더를 사용하여, 한 출처에서 실행 중인 웹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출처의 선책한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도록 브라우저에 알려주는 체제입니다. 웹 애플리케이션은 리소스가 자신의 출처(도메인, 프로토콜, 포트)와 다를 때 교차 출처 HTTP 요청을 실행합니다.' 라고 설명하고 있다.
출처란
https://exampleurl.com:443 이라는 URL이 있을때
프로토콜(https://), 도메인(exampleurl.com), 포트(:443)
3가지가 같다면 동일 출처라고 하며, 포트는 생략이 가능하다.
HTTP, HTTPS 프로토콜은 각각 88, 433이라는 포트로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만약 다른 출처의 웹 서버에 아무런 제한없이 접근할 수 있다면 개인 정보 유출이나 리소스를 수정, 삭제, 훔쳐가거나 악성 스크립트를 삽입하는 등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CORS는 이러한 보안 위협을 방지하기 위한 정책이며 서로 다른 출처 간의 통신을 제어함으로 써 웹 애플리케이션의 보안을 강화한다.
CORS는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통신에서 사용되며 다른 출처에 리소스에 접근하는 경우 브라우저에서 추가적인 HTTP 요청을 보내 해당 리소스에 대한 접근 권한을 확인한다. 서버는 이 요청을 처리하고, 허용되는 출처인 경우 브라우저에 허용하는 응답을 보낸다.
[참조]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TP/CORS
https://evan-moon.github.io/2020/05/21/about-cors/
https://escapefromcoding.tistory.com/724
'공부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824 TIL - 쿠키와 세션, 둘의 차이점 (0) | 2023.08.24 |
---|---|
230823 TIL - 브라우저의 작동방식 (0) | 2023.08.23 |
230821 TIL - HTTP 메소드란 (0) | 2023.08.21 |
230819 TIL - Primary Key, Foreign Key (0) | 2023.08.19 |
230818 TIL - RDBMS에서의 정규화 (0) | 2023.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