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장을 습관화
GitHub 커밋 삭제 본문
실수로 깃허브에 올려버린 .env를 삭제하는 과정을 기록한다.
1. 커밋 내용에서 .env파일을 삭제
$ git filter-branch --force --index-filter "git rm --cached --ignore-unmatch '[root부터 삭제 대상까지의 경로]/.env'" --prune-empty --tag-name-filter cat -- --all
이 명령어를 입력하는데 조금 오래걸렸다
다른 사람들과는 다르게 나는 경로를 '작은 따옴표'로 묶어주어야 적용되더라
완료되면 rewitten이라는 문구가 나온다.
그리고 변경 내용을 강제로 푸시
$ git push origin master --force
이후 커밋 내용을 보면 .env에 대한 내용이 모두 제거되어 나온다.
rewitten 이전에는 위 'gitignore 수정' 커밋 내용에 .env의 내용까지 나와있었지만
작업 이후 .gitignore만 나오고는 모습이다.
내용 출처
https://velog.io/@moon960427/Github-history-%EC%82%AD%EC%A0%9C%ED%95%98%EA%B8%B0
Github history 삭제하기
개발을 진행하다보면 깃허브에 실수로 민감한 정보를 커밋한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ex. 구글로그인을 위한 클라이언트 id, 클라이언트 보안 비밀 등등)하지만 이미 커밋된 경우 뒤늦게 삭제
velog.io
[Git] 실수로 올린 env 삭제하기 (commit history까지 완전 삭제)
git에 env 파일을 실수로 올려버렸다. 최근 사용한 프로그램은 돈이 나가는 프로그램이라 env 파일을 빨리 삭제해야했다. 그래서 검색해보니 명령어는 다음과 같았다. git rm .env --cached git add . git com
jihyuns-today.tistory.com
'공부 > 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키는 왜 이름이 쿠키일까.. (0) | 2024.01.16 |
---|---|
docker에 대한 이해 (0) | 2024.01.15 |
API, REST API, RESTful API (0) | 2024.01.08 |
메모 - 백엔드 개발자 기술 면접 질문 저장소 (0) | 2024.01.05 |
AWS RDS MySQL DB Timezone 변경 (0) | 2023.11.18 |